자영업왕국 대한민국
취업난의 심화 등으로 창업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
정부에서도 여러가지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예비창업자들은 이러한 정부정책들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올해 정부는 ‘창업 국가 조성’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약 1조 4500억원을 지원한다고 한다.
(결코 많은 예산이 아니라고 생각함.)
중소벤처기업부를 비롯한 16개 부처가 이 예산을 바탕으로 창업관련 정책을 진행한다
중기부는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을 조사한 결과 16개 부처에서 진행하는 90개 사업을 통해 총 1조4,517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지난해 지원규모보다 3300억원 증가한 것으로 13개 부처가 창업관련 예산을 확대했다.
부처별로는 주무 부처인 중기부가 약 1조 2000억원을, 과기정통부가 약 480억원, 고용부가 약 300억원을 창업지원 정책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 육성을 위한 ‘TIPS 프로그램’, 데스밸리 극복을 위한 지원책인 ‘창업도약 패키지’, 중장년 창업기업까지 아우르는 ‘창업기업 서비스바우처’ 등도 정부가 대규모 지원을 약속했는데. 다만 창업관련 시설이나 공간 제공에 대한 예산은 1,259억원으로 약 200억 가량 감액되었다고 합니다.
올해 정부가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은 4차 산업혁명 기반 마련을 위한 혁신창업 패키지사업 , 농산업체 매출 증대를 위한 농업실용화기술 R&D 지원사업 , 창업이민 인재양성프로그램 ,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등 21개 사업이라고 한다.
각 부처는 할당된 예산의 절반 가량인 7,315억원을 창업사업화에 활용한다고 한다.
창업사업화 분야 주요 사업으로는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과 멘토링 등을 지원하는 ‘예비창업패키지’와 업력 3~7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개선이나 수출 확대 등 사업화를 지원하는 ‘창업도약패키지’가 거론되고 있는데. 이 정책들은 각각 1,113억원과 1,275억원을 배정받았다고 한다.
특히 예비창업패키지는 기존에 만 39세 이하만 지원할 수 있었던 반면, 올해부터는 나이 제한을 아예 없애 은퇴인구도 지원정책의 수혜를 받을 수 있게끔 했다고 하니 좋은 창업아이템이 있는 중장년층들도 혜택을 볼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